본문 바로가기
기획자가 알아야 할 IT지식

API vs. 스크래핑 – 데이터를 가져오는 두 가지 방법! 🔍🚀

by 일잘러로 살기 2025. 2. 5.

"어떻게 하면 이 사이트의 정보를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을까?"
"앱 개발할 때 데이터를 외부에서 가져오려면 API가 필요할까, 아니면 스크래핑을 하면 될까?"

이런 고민을 해본 적이 있다면, API와 웹 스크래핑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API와 스크래핑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알아보겠습니다. 😉


1. API란? 🤖

정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두 개의 시스템(서비스, 앱, 웹사이트 등)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정해진 방식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 API는 공식적인 데이터 제공 방법!
  •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통로
  • REST API, GraphQL API, SOAP API 등 다양한 방식 존재

🎯 예시

  • 날씨 앱에서 기상청 API를 이용해 날씨 정보 가져오기
  • 금융 서비스에서 은행 API를 이용해 계좌 잔액 확인
  • 쇼핑몰에서 카카오페이 API를 이용해 간편 결제 처리

💡 API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공식적으로 제공되므로,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다!


2. 스크래핑이란? 🕵️‍♂️

정의
스크래핑(Web Scraping)이란,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수집(크롤링)하고 가공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 사람이 웹사이트를 보듯이 코드를 이용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
  • 웹사이트의 HTML을 분석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
  •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API가 없을 때 많이 사용됨

🎯 예시

  • 부동산 사이트에서 아파트 시세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 경쟁사의 가격 변동을 자동으로 모니터링
  • 뉴스 사이트에서 최신 기사 제목과 내용을 자동으로 가져오기

💡 스크래핑은 API 없이도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지만, 사이트 정책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3. API와 스크래핑의 차이점 🔍

  API스크래핑 웹 스크래핑
데이터 제공 방식 공식적인 데이터 제공 웹사이트에서 직접 HTML을 분석하여 데이터 추출
속도 및 안정성 빠르고 안정적 사이트 구조가 변경되면 오류 발생 가능
법적 문제 데이터 제공자가 허가한 방식 사이트 정책에 따라 불법이 될 수도 있음
데이터 업데이트 API 제공자가 관리 웹페이지 변경 시 코드 수정 필요
활용 가능성 API가 제공하는 데이터만 사용 가능 API 없이도 모든 데이터 수집 가능
개발 난이도 API 문서를 보고 연동하면 간단 HTML 구조를 분석하고 파싱해야 함

 

📌 API는 공식적인 데이터 제공 방식이고, 스크래핑은 웹사이트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이다!


4. 언제 API를 사용하고, 언제 스크래핑을 사용할까? 🤔

API를 사용하는 경우

  • 서비스 제공자가 공식적으로 API를 제공하는 경우
  •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경우 (예: 날씨, 금융 정보)
  •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가져와야 하는 경우 (예: 결제 시스템)

스크래핑을 사용하는 경우

  • API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 특정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경우 (예: 뉴스, 가격 비교)
  • 단기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한 경우

💡 API가 있다면 API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 API가 없을 때만 스크래핑을 고려해야 한다.


5. API와 스크래핑의 법적 이슈 ⚖️

📌 API는 보통 제공자의 정책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지만, 스크래핑은 법적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API는?

  • 서비스 제공자가 공개한 데이터이므로 합법적으로 사용 가능
  • 하지만, API 요청 횟수 제한(쿼터)이 있을 수도 있음

스크래핑은?

  • 웹사이트 이용약관에서 스크래핑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음
  • 특정 서비스(예: 구글, 네이버, 트위터 등)는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을 차단할 수도 있음
  •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어, robots.txt 파일을 확인하고, 서비스 약관을 준수해야 함

💡 API는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이라 안전하지만, 스크래핑은 법적 리스크를 고려해야 한다!


6. API와 스크래핑의 실제 활용 사례 🏗️

API 활용 사례

  • 네이버 지도 API →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지도 데이터 활용
  • 카카오톡 메시지 API → 챗봇 개발
  • 오픈뱅킹 API → 금융 서비스에서 계좌 정보 연동

스크래핑 활용 사례

  • 가격 비교 사이트 → 여러 쇼핑몰의 가격을 자동으로 크롤링
  • 부동산 데이터 분석 → 아파트 시세 데이터를 웹사이트에서 수집
  • 뉴스 분석 → 기사 제목과 내용을 자동으로 모아서 트렌드 분석

📌 API는 서비스 연동에, 스크래핑은 데이터 수집·분석에 강점이 있다!


7. API와 스크래핑, 한 줄 요약!

📌 API란?
👉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연동 방식!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음)

 

📌 스크래핑이란?
👉 웹사이트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 (API가 없을 때 유용하지만 법적 리스크 존재)

 

📌 API vs. 스크래핑, 언제 사용할까?
👉 API가 있으면 API를 사용!
👉 API가 없을 때, 법적 문제를 고려하며 스크래핑을 사용!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려면 API와 스크래핑의 차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