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18 📌 UX 타깃 그룹 선정, 이렇게 하면 끝! 서비스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누구를 위한 서비스인가?"입니다. 아무리 좋은 기능도 사용자가 원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죠! 그래서 UX 타깃 그룹을 제대로 선정하는 게 필수입니다.그럼, UX 타깃 그룹을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요? 같이 살펴볼게요! 👀 이미지 출처1️⃣ UX 타깃 그룹이란? UX 타깃 그룹이란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그룹을 말해요. ✅ 어떻게 구분할까? ✔️ 연령대 & 성별 ✔️ 기존 서비스 이용 경험 ✔️ 디지털 기기 사용 숙련도 ✔️ 서비스 이용 목적 ✔️ 가격 민감도 등! 💡 예시 | OTT 서비스 타깃 그룹 ❌ 잘못된 분류 → 20대 / 30대 / 직장인 (30대 직장인은 어디로?) ✅ 올바른 분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이상 (겹.. 2025. 2. 17. 💡 SSL과 TLS – 안전한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필수 기술! 🔒 💬 "우리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을까요?"💬 "해킹이나 도청 걱정 없이 온라인 뱅킹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요?" 그 해답이 바로 SSL과 TLS에 있어요!😊 지금부터 SSL과 TLS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SL(Secure Sockets Layer)과 TLS(Transport Layer Security) – 인터넷통신 보안기술!SSL과 TLS는 인터넷에서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두 기술 모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로부터의 도청이나 위조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 SSL과 TLS의 차이점은?SSL은 **넷스케이프(Netscape)**가 개발한 암호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여러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면서, TLS가.. 2025. 2. 15. Read-Only & Disabled, 뭐가 다를까? 🤔 UI 기획을 하다 보면 Read-Only와 Disabled라는 용어를 자주 마주치게 돼요. 둘 다 입력을 막는 기능이지만, 실제로는 용도가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 기획할 때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지 않으면 사용자 경험이 엉망이 될 수도 있어요. 그럼, 차이점을 예시와 함께 살펴볼까요? 🚀✅ Read-Only란? 사용자가 데이터를 볼 수만 있고 수정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해요. 즉, 입력 필드가 존재하지만 입력이 불가능한 UI예요. 📌 Read-Only 예시마이페이지에서 본인의 회원정보 확인 (수정 불가)회사 시스템에서 급여 정보 조회 (변경 불가)주문 상세 페이지에서 주문번호 표시 (사용자는 수정할 필요 없음)이미지 출처💡 Read-Only가 필요한 이유 ✔️ 중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수로 수.. 2025. 2. 15. 버튼 일관성: 작은 차이가 UX를 만든다 버튼 일관성: 작은 차이가 UX를 만든다버튼 디자인이 페이지마다 다르다면 사용자는 어떤 느낌을 받을까요?"이 버튼이 진짜 중요한 버튼인가?""아까랑 색이 다른데, 같은 기능 맞나?""뭐가 뭔지 헷갈려서 쓰기 어렵네..."이처럼 버튼의 디자인과 동작이 일관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혼란을 느끼고, UX는 나빠질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오늘은 **버튼 일관성(Button Consistency)**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하면 좋은지 알아볼게요!1. 버튼 일관성이 왜 중요할까?버튼은 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행동의 출발점이에요. 일관성이 없으면 사용자 경험이 단절되고,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어요.✅ 버튼 일관성이 없으면?같은 기능인데 페이지마다 다른 디자인 .. 2025. 2. 13. 버튼 가시성: 눈에 띄는 버튼이 더 좋은 UX를 만든다! 버튼 가시성: 눈에 띄는 버튼이 더 좋은 UX를 만든다! 버튼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클릭하고 싶어도 클릭할 수 없어요.UI에서 버튼은 단순한 요소가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핵심 도구예요.그래서 오늘은 버튼의 가시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1. 버튼 가시성이 중요한 이유버튼이 눈에 잘 띄어야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빠르게 할 수 있어요. 가시성이 낮으면?❌ 찾기 어려움 → 사용자가 어디를 클릭해야 할지 몰라 헤맴❌ 사용 흐름 단절 → 중요한 버튼을 놓쳐서 이탈 가능성 증가❌ 접근성 저하 → 특정 사용자(시력이 약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 초래반대로 버튼이 눈에 잘 띄면?✅ 빠른 인식 → 원하는 기능을 바로 찾을 수 있음✅ 높은 전환율 → 주요 버튼(예: 구매하기, 회원가입.. 2025. 2. 13. 버튼 피드백: 클릭 후의 작은 차이가 사용자 경험을 바꾼다 버튼 피드백: 클릭 후의 작은 차이가 사용자 경험을 바꾼다 버튼을 눌렀는데 아무 반응이 없으면 사용자는 어떤 생각을 할까요?"고장 났나?""내가 제대로 누른 거 맞아?""이거 작동하는 거야, 마는 거야?"이렇게 사용자에게 의심과 불안을 주는 순간, UX는 실패하게 돼요.그래서 오늘은 버튼을 눌렀을 때 즉각적인 반응을 주는 **'버튼 피드백(Button Feedback)'**의 중요성과 구현 방법을 알아볼게요!1. 버튼 피드백이 왜 중요할까?버튼 피드백은 단순히 "예쁘게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을 돕기 위한 중요한 요소예요.✅ 버튼 피드백이 없으면?사용자는 버튼이 눌렸는지 모르고 연속 클릭(예: 주문 버튼을 여러 번 눌러 중복 결제 발생)시스템 응답이 늦어지면 사용자는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2025. 2.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