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30

기획자가 알아야 할 UX심리학 🔄 제이콥의 법칙(Jakob’s Law) 사용자는 새로운 사이트나 앱을 이용할 때, 이미 익숙한 경험을 기대해요. 이를 설명하는 것이 바로 제이콥의 법칙이에요. 그럼 자세히 살펴볼게요!🔍 제이콥의 법칙이란?제이콥 닐슨(Jakob Nielsen)이 주장한 원칙으로, 사용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다른 사이트에서 보내므로, 익숙한 디자인과 기능을 제공하면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에요.📌 쉽게 말하면?"새로운 경험보다 익숙한 경험이 더 편하다!""사용자는 네이버, 구글, 유튜브 같은 기존 서비스에서 본 것처럼 작동하기를 기대한다!"사용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학습하는 데 시간을 들이지 않도록, 기존의 UX 패턴을 따르는 것이 중요해요.✅ 제이콥의 법칙이 UX/UI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사용자가 이미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다르면, 혼란을 느끼고 이.. 2025. 2. 28.
기획자가 알아야 할 UX심리학 🧠 힉스의 법칙(Hick’s Law)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많아질수록 결정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요. 이를 설명하는 것이 힉스의 법칙이에요.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원리인지 살펴볼게요!⏳ 힉스의 법칙이란?힉스의 법칙은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결정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원칙이에요. 1952년 심리학자 윌리엄 에드먼드 힉(William Edmund Hick)과 레이 헤이먼(Ray Hyman)이 연구한 결과에서 유래했어요.📌 공식T = b * log₂(n + 1)T =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n = 선택지의 개수b = 과업의 복잡성에 따른 상수즉,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고민하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뜻이에요.이미지 출처 ✅ 힉스의 법칙이 UX/UI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선택지가 많아지면 사용자는 인지 과부하를.. 2025. 2. 27.
📌 UX 타깃 그룹 선정, 이렇게 하면 끝! 서비스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건 "누구를 위한 서비스인가?"입니다. 아무리 좋은 기능도 사용자가 원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죠! 그래서 UX 타깃 그룹을 제대로 선정하는 게 필수입니다.그럼, UX 타깃 그룹을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요? 같이 살펴볼게요! 👀 이미지 출처1️⃣ UX 타깃 그룹이란?  UX 타깃 그룹이란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그룹을 말해요. ✅ 어떻게 구분할까? ✔️ 연령대 & 성별 ✔️ 기존 서비스 이용 경험 ✔️ 디지털 기기 사용 숙련도 ✔️ 서비스 이용 목적 ✔️ 가격 민감도 등! 💡 예시 | OTT 서비스 타깃 그룹 ❌ 잘못된 분류 → 20대 / 30대 / 직장인 (30대 직장인은 어디로?) ✅ 올바른 분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이상 (겹.. 2025. 2. 17.
"터치 스크린 인터랙션, 이것만 알면 끝!" 터치 스크린 UI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은 직관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핵심 요소입니다.다양한 터치 방식이 존재하며, 각 방식마다 다른 용도로 활용됩니다.📌 기본 터치 스크린 인터랙션 종류 이미지 출처1️⃣ Tap & Touch사용자가 특정 아이템이나 메뉴를 짧게 터치하여 선택하는 행위기획서에서 “선택하여”, “tap”, “touch” 등의 용어로 표현사용 빈도가 가장 높음2️⃣ Double Tap특정 영역을 빠르게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이미지 확대, 파일 열기, 콘텐츠 실행 등에 사용3️⃣ Long Tap / Press (=Touch & Hold)특정 아이템을 길게 누르는 동작숨겨진 기능을 호출하거나, 편집 모드로 진입할 때 사용일반적인 Tap보다 누르는 시간이 길어야 함4️⃣ Flick & SwipeFlic.. 2025. 2. 15.
"라벨링과 히스토리백, UI 설계의 기본을 잡아보자!" UI 설계에서 라벨링(Labeling)과 히스토리백(History Back)은 서비스의 가독성과 사용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용어를 정리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관리하는 방식 모두 서비스 일관성을 유지하는 핵심 기획 포인트가 됩니다.📌 라벨링(Labeling), 명확한 UI의 시작라벨링은 UI 요소들의 명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이에요.사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에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메뉴 레이블링 : 네비게이션 및 카테고리명을 설정하는 것이에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줘요.소제목 타이틀 : 페이지 내 섹션별 제목을 정의하는 것이에요. 각 섹션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줘요.버튼명(Labeling for.. 2025. 2. 15.
"필터 & 소팅 UI, 제대로 이해하면 서비스가 달라진다!" 소팅(Sorting)과 필터(Filter) UI는 사용자 경험(UX)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거나 특정 조건에 맞춰 검색 결과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소팅(Sorting) UI란?소팅은 데이터를 특정 기준(예: 가격 낮은 순, 인기순, 최신순 등)에 따라 정렬하는 기능입니다.일반적으로 드롭다운 메뉴, 버튼 그룹, 아이콘 버튼 형태로 제공됩니다.선택 시, 정렬된 리스트가 즉시 반영됩니다.일부 서비스에서는 오름차순/내림차순 전환 버튼을 추가해 유연한 정렬을 제공합니다.📌 필터(Filter) UI란?필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선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필터링 옵션을 설정하면 사용자 맞춤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체크.. 2025.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