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가 뭐지? 클라이언트랑 뭔가 다르긴 한 것 같은데, 정확히 뭘 의미하는 거지?"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웹이나 앱 서비스를 사용할 때 항상 등장하는 중요한 개념이에요. 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면, 시스템의 흐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서버(Server) –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 🌍
서버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응답을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주요 특징
- 데이터 처리와 저장: 서버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사용자 정보, 게시글, 상품 목록 등을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죠.
- 중앙집중형: 서버는 모든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하며, 여러 클라이언트가 같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항상 켜져 있어야 함: 서버는 24시간 운영되어야 하며, 항상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예시
- 웹 서버: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
- 게임 서버: 온라인 게임에서 여러 사용자 간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 DB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 클라이언트(Client) – 요청을 보내고 데이터를 받는 '사용자'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기기입니다. 사용자가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측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 주요 특징
-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음: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에 맞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줍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를 요청하면, 서버가 그에 맞는 HTML 파일을 브라우저에 전달하는 방식이죠.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클릭, 입력 등을 통해 서버와 소통하는 부분입니다.
- 다양한 형태: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 모바일 앱, 게임 클라이언트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웹 브라우저: Chrome, Firefox, Safari 등 웹사이트를 요청하는 프로그램
- 모바일 앱: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등의 앱이 클라이언트 역할을 합니다.
- 게임 클라이언트: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관계 – '주고받기'가 핵심!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그 흐름을 간단히 설명하면: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냅니다.
- 서버는 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응답(Response)**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그에 맞게 동작합니다.
예시: 웹사이트 방문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를 열고, URL을 입력합니다.
- 웹 브라우저는 해당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얻기 위해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서버는 요청에 맞는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반환합니다.
- 웹 브라우저는 이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을 표시합니다.
🔹 결론 –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의 협력으로 작동하는 웹! 🌟
✔ 서버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클라이언트는 이를 요청하고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항상 주고받기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며, 서로 협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획자가 알아야 할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앱의 종류 –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웹앱 비교! (0) | 2025.02.05 |
---|---|
🌐 웹서버(Web Server), WAS, DB 서버 – 웹사이트 로그인에서 각 서버의 역할! (0) | 2025.02.05 |
앱(App) vs 웹(Web) – 둘의 차이점을 한눈에! 📱💻 (0) | 2025.02.05 |
소스 프리징(Source Freezing) – 테스트계와 운영계를 동일하게! ⚡️🛠️ (0) | 2025.02.05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 시스템 변경의 숨은 주인공! ⚡️💼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