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획3

반응형 디자인 vs 적응형 디자인 🌐 웹사이트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잘 보이도록 디자인되어야 해요. 그럼 반응형 디자인과 적응형 디자인은 어떻게 다를까요? 한번 살펴볼게요! 이미지 출처📱 반응형 디자인 (Responsive Design)설명: 하나의 유동적인 레이아웃을 사용해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변해요.장점:일관된 사용자 경험: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에서도 비슷한 경험 제공유연한 레이아웃: 다양한 화면에 자동으로 맞춰짐단점:로딩 속도 느릴 수 있음: 모든 콘텐츠를 한 번에 로딩복잡한 디자인에는 어려움💻 적응형 디자인 (Adaptive Design)설명: 여러 개의 고정된 레이아웃을 미리 정의하고, 화면에 맞는 레이아웃을 선택해 제공해요.장점:최적화된 디자인: 각 기기에 맞춘 최적화 제공빠른 로딩: 필요한 콘텐츠만 로딩단점:일관.. 2025. 2. 15.
모듈 (Module) & 공통 모듈 (Common Module) –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개념! 🔧 💬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하나하나의 기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요?"💬 "복잡한 시스템에서 재사용 가능한 기능을 어떻게 구성할까요?"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개념이 바로 모듈(Module)과 공통 모듈(Common Module)입니다!📌 모듈 (Module) – 기능을 묶은 독립적인 구성 요소!모듈(Module)은 관련 있는 기능들의 묶음입니다. 즉,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이 하나의 독립적인 단위로 묶여서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게 됩니다.✅ 모듈의 특징단일 함수 또는 함수들의 모음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으로도 간주될 수 있습니다.하나의 프로그램이 여러 모듈로 나뉘어져 있을 때, 각 모듈은 독립적인 작업을 처리하거나 특정 역할을 수행합니다.💡 모듈화 장점효율적인 .. 2025. 2. 15.
🚀 IA(정보구조) 설계, 이렇게 하면 쉽고 재밌다! 서비스 기획 초보를 위한 꿀팁 대방출! 서비스 기획을 처음 시작한 주니어 여러분, 정보구조(IA) 설계가 어렵고 복잡해 보이시죠?그런데 걱정 마세요! 오늘 제가 그 어려움을 뚫고, IA 설계를 쉽고 재밌게 만드는 방법을 전수해드릴게요.이 글을 읽고 나면, "아, 이렇게 하면 되는구나!" 하며 자신감 넘치는 기획자가 될 수 있을 거예요!  1. IA(정보구조)란 무엇일까요?IA는 쉽게 말해,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 내에서 정보를 잘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목표는 단 하나,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만드는 거죠.IA 설계의 기본 원칙빠른 접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찾을 수 있어야 해요.우선순위: 자주 사용하는 정보는 눈에 띄게 배치!균형 잡힌 Depth & Width: 정보의 깊이와 넓이가.. 2025.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