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디자인의 5가지 핵심 요소 ✨

by 일잘러로 살기 2025. 2. 10.

좋은 디자인은 단순히 예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쓸 수 있어야 해요. 아래 5가지 요소를 하나씩 살펴볼까요?

 

1. 배우기 쉬워요(학습편의성)

  • 처음 보는 사람도 어떻게 쓰는지 금방 알 수 있어야 해요
  • 예시: 장바구니 아이콘은 화면 위쪽에 두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요
  • 예시: 운동 앱에서는 간단한 그림과 설명으로 누구나 쉽게 기록할 수 있어요
구분 사용성 모형 의미 체크리스트
편의성 단축성 사용자가 원하는 과업을 빨리, 간단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정도 - 주요 기능(검색, 결제, 주문 등)으로 가는 경로가 간단한가?
- 불필요한 클릭이나 단계를 줄였는가?
- 빠른 액션을 유도하는 단축키나 버튼이 있는가?
반응성 사용자 행위에 대한 시스템 반응 속도 및 상태 시각화 - 시스템 반응 시간이 빠른가?
- 진행 상태(예: 로딩 시간, 다운로드 등)가 명확하게 표시되는가?
- 상태 업데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가?

 

 

2. 원하는 걸 쉽게 할 수 있어요(기능성)

  • 사용자가 하고 싶은 일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어야 해요
  • 예시: 쇼핑할 때 이전에 썼던 배송지를 자동으로 불러와줘요
  • 예시: 보험 가입할 때 몇 단계 남았는지 바로 알 수 있어요
구분 사용성 모형 의미 체크리스트
정확성 사전방지성 오류를 미리 방지하고 실수를 줄이는 속성 - 입력값 검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가?
- 필수입력란이 명확하게 표시되며, 잘못된 입력에 대해 알림이 제공되는가?
- 잘못된 행동을 방지하는 안내가 있는가?
오류발생
감지성
오류 발생 시 이를 즉시 알려주는 속성 -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즉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는가?
- 오류 메시지가 이해하기 쉽게 전달되는가?
오류회복성 오류 발생 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속성 - 오류 발생 시, 빠르게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는가?
- 사용자가 이전 상태로 복구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가?

 

3.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요(의미성)

  • 중요한 내용은 눈에 잘 띄게 보여줘야 해요
  • 예시: 새 메시지가 오면 빨간색으로 표시해서 바로 알 수 있어요
  • 예시: 회원가입 버튼은 크게 만들어서 찾기 쉽게 해요
구분 사용성 모형 의미 체크리스트
의미성 변화제시성 시스템 상태의 변화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 - 시스템 상태 변화(예: 새로운 알림, 진행 상황 등)가 명확하게 표시되는가?
- 상태 변화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가?
이해성 정보가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전달되는 속성 - 텍스트나 아이콘이 명확하고 직관적인가?
- 정보 전달 방식이 일관되고 쉽게 이해되는가?
- 필요한 도움말이나 가이드가 쉽게 접근 가능한가?
가독성 정보가 간결하고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속성 - 중요 정보가 눈에 띄게 강조되어 있는가?
- 글씨 크기, 색상 등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요소가 고려되어 있는가?
논리성 정보가 논리적으로 배열되고 제공되는 속성 - 정보가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는가?
- 화면 내 정보 배치가 논리적이고 자연스러운가?
기억성 시스템이 사용자의 기억을 도와주는 속성 - 이전 작업이나 검색 내역이 쉽게 확인될 수 있는가?
-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항목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가?

 

4. 실수해도 괜찮아요(정확성)

  • 실수를 줄이고, 실수해도 쉽게 고칠 수 있어야 해요
  • 예시: 영화 예매할 때 잘못 고른 좌석을 쉽게 바꿀 수 있어요
  • 예시: 결제하기 전에 배송지를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어요
구분 사용성 모형 의미 체크리스트
유연성 사용자
주도권
사용자가 시스템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시스템을 설정 및 수정 기능이 제공되는가?
- 사용자 맞춤화 옵션이 있는가?
시스템
주도권
시스템이 자동으로 주도권을 행사하는 속성 - 자동화된 기능(예: 자동 로그아웃, 자동 저장 등)이 필요한 경우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는가?
- 시스템이 스스로 진행하는 작업이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는가?
대체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제공하는 속성 - 하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가?
  (예: SNS 로그인, 이메일 로그인)
- 사용자가 가장 편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가?
다중성 사용자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 다중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가?
  (예: 검색 결과 필터링, 여러 항목 선택 등)
-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때 혼란이 없는가?

 

5. 다음 단계를 예상할 수 있어요(예측가능성)

  • 사용자가 다음에 뭐가 나올지 짐작할 수 있어야 해요
  • 예시: 사진을 길게 누르면 추가 메뉴가 나와요
  • 예시: 음악이 끝나면 다음 곡이 자동으로 나와요
구분 사용성 모형 의미 체크리스트
일관성 친숙성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 기존 시스템 또는 업계 표준에 맞는 디자인 요소가 사용되고 있는가?
- 아이콘이나 버튼이 직관적이고 사용자에게 친숙한가?
예측가능성 사용자가 다음에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속성 - 사용자가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는가?
- 예상되는 행동이나 결과가 일관되게 제공되는가?
외부적
일관성
외부적으로 일관된 스타일을 갖추는 속성 - 다른 앱이나 웹사이트와 유사한 스타일이 사용되어 사용자가 익숙하게 느끼는가?
- 디자인 요소가 외부 규칙을 따르고 있는가?
내부적
일관성
내부적으로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는 속성 - 모든 페이지에서 일관된 디자인 스타일이 유지되고 있는가?
- 스타일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는가?

 

마무리 좋은 디자인은 사용자가 편하게 쓸 수 있어야 해요. 위 5가지 요소를 잘 지키면,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를 더 쉽고 즐겁게 이용할 수 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