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기획/사업 기획

🚀 9가지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자가 원하는 지표들

by 일잘러로 살기 2025. 2. 10.

🚀 9가지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자가 원하는 지표들

 

스타트업을 시작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을 정하는 건 정말 중요해. 그 모델에 따라,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지, 어떻게 성장할지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무엇을 보여줄지가 결정되거든.

그래서 오늘은 YC Startup School에서 소개하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과 그에 맞는 투자자가 원하는 지표들을 알아볼 게요.

 

1. 기업형(Enterprise)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기업형 모델은 주로 대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입니다. 계약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합니다.

예시:

  • 삼성 SDS: 대기업을 대상으로 IT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와 IT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지표:

  • 계약(Bookings): 성사된 계약의 총 금액.
  • 총 고객 수: 계약을 맺은 고객 수.
  • 수익(Revenue): 계약에 의해 발생한 실제 매출.

2. SaaS형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구독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합니다.

예시:

  • 드롭박스: 파일 저장 및 공유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SaaS 모델.
  • 넥스트레벨: 기업에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SaaS 플랫폼.

주요 지표:

  • MRR(Monthly Recurring Revenue): 월간 반복 매출.
  • ARR(Annual Recurring Revenue): 연간 반복 매출.
  • Paid CAC: 유료 채널을 통한 고객 획득 비용.

3. 구독형(Subscription)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소비자에게 일정 주기마다 구독료를 받는 방식으로, 주로 콘텐츠나 서비스에 사용됩니다.

예시:

  • 왓챠(Watcha): 영화와 TV 프로그램 구독 서비스.
  • 밀리의 서재: 전자책 및 오디오북 구독 서비스.

주요 지표:

  • MRR: 매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매출.
  • MRR CMGR(Compounded Monthly Growth Rate): 월간 성장률.
  • Paid CAC: 유료 마케팅을 통한 고객 획득 비용.

4. 거래형(Transactional)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거래가 이루어질 때마다 수수료를 받는 모델로, 금융 서비스가 대표적입니다.

예시:

  • 토스(Toss): 송금 및 결제 서비스로, 거래 시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 배달의민족(배민): 음식 주문과 배달 서비스, 주문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주요 지표:

  • GTV(Gross Transaction Volume): 총 거래 금액.
  • 순매출(Net Revenue): 거래에서 발생한 순수익.
  • User Retention: 고객 유지율.

5. 마켓플레이스형(Marketplace)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 모델입니다. 중개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예시:

  • 쿠팡: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온라인 쇼핑몰.
  • 중고나라: 사용자 간 중고 물품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

주요 지표:

  • GMV(Gross Merchandise Value): 총 상품 매출액.
  • 순매출(Net Revenue): 중개 수수료로 발생한 순수익.
  • User Retention: 고객 유지율.

6. 이커머스형(E-commerce)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직접 상품을 제조하거나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모델입니다.

예시:

  • 마켓컬리: 신선식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이커머스 기업.
  • 11번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주요 지표:

  • 월수익(Monthly Revenue): 월간 매출.
  • Revenue CMGR: 두 비연속적인 달 간의 매출 성장률.
  • Gross Margin: 매출에서 상품 원가를 제외한 총이익.

7. 광고형(Advertising)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사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예시:

  • 네이버: 검색 광고와 콘텐츠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 카카오톡: 광고주에게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주요 지표:

  • DAU(Daily Active User): 일일 활성 사용자 수.
  • MAU(Monthly Active User): 월간 활성 사용자 수.
  • 로그인 %: 로그인 사용자 비율.

8. 하드웨어형(Hardware)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소비자 또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드웨어 제품을 판매하는 모델입니다.

예시:

  • 샤오미: 스마트폰,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판매하는 기업.
  • 아이리버: 전자기기 및 오디오 기기 제조 기업.

주요 지표:

  • 월수익(Monthly Revenue): 월간 매출.
  • Revenue CMGR: 두 비연속적인 달 간의 매출 성장률.
  • Gross Margin: 상품 원가를 제외한 총이익.

9. 플랫폼형(Platform) 비즈니스 모델

모델 설명: 사용자,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수익을 얻는 모델입니다.

예시:

  • 네이버 클라우드: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발자와 기업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 카카오게임즈: 게임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게임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주요 지표:

  • MAU(Monthly Active Users): 월간 활성 사용자 수.
  • Transaction Volume: 플랫폼에서 발생한 거래 금액.
  • Revenue per User (RPU): 사용자당 평균 수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