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다양한 작업을 할 때 동기와 비동기 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데, 그 차이를 잘 알고 있나요?
이번 글에서는 동기방식과 비동기방식의 차이점과 특징을 쉽게 정리해볼게요! 🚀
1. 동기방식(Synchronous) –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
✔ 정의: 한 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음 작업을 기다리는 방식
✔ 특징:
-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직렬 처리 방식
-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다음 작업은 시작하지 않음
- 처리 순서가 중요한 경우 사용
- 단점: 하나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시작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음
🎯 예시
- 전화 통화 📞: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 전에는 전화를 끊을 수 없죠?
- 파일 다운로드 ⬇️: 첫 번째 파일이 끝나야 두 번째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음.
- 웹 요청 처리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응답을 기다린 후 다음 작업을 진행.
🛠 사용 기술 예시
- HTTP 요청: 요청 후 응답을 기다리는 동기 방식
- SQL 쿼리 실행: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동기 처리
2. 비동기방식(Asynchronous) – 한 번에 여러 작업을 처리! ⚡
✔ 정의: 작업이 끝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방식
✔ 특징:
- 작업이 병렬적으로 처리되며, 대기 없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
-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 시간 효율적: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
- 단점: 작업 순서나 의존 관계를 고려해야 하므로 관리가 복잡할 수 있음
🎯 예시
- 음악 스트리밍 🎵: 음악을 들으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요.
- 멀티태스킹 🖥️: 문서 작성하면서 웹 브라우징, 이메일 확인 등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
- API 요청 🌐: 여러 API 요청을 동시에 보낼 수 있으며, 각 요청의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진행!
🛠 사용 기술 예시
- JavaScript (Node.js): 비동기 처리를 통해 웹 서버에서 동시에 여러 요청을 처리
- Queue 시스템 (예: RabbitMQ, Kafka): 비동기 방식으로 작업을 대기열에 쌓아두고 동시에 처리
3. 동기방식 vs. 비동기방식, 한눈에 비교!
동기방식 | 비동기방식 | |
작업 처리 방식 | 순차적으로 처리 | 동시에 여러 작업 처리 |
대기 시간 | 이전 작업 완료 후 진행 | 대기 시간 없이 다른 작업 진행 |
장점 | 처리 순서 보장, 직관적 | 시간 절약, 효율적 |
단점 |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 작업 관리 복잡, 순서 문제 발생 가능 |
사용 예시 | 전화 통화, 파일 다운로드 | 음악 스트리밍, 멀티태스킹, API 요청 |
4. 언제 동기방식 vs. 비동기방식을 사용할까?
✅ 동기방식이 필요한 경우
- 순차적 작업의 처리 순서가 중요할 때
- 작업이 반드시 완료된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예: 트랜잭션)
- 단일 작업 처리가 필요한 경우 (예: 파일 하나하나 처리)
✅ 비동기방식이 적합한 경우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여 시간을 단축하고 싶을 때
- 대기 시간 최소화가 중요한 경우 (예: 웹 서비스, 사용자 경험 개선)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경우 (예: 대규모 데이터 처리, API 호출)
5. 한 줄 요약!
📌 동기방식은 순차적으로 처리되며,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어야 다음 작업이 시작!
📌 비동기방식은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기획자가 알아야 할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OAuth 인증과 SSO(Single Sign-On) – 로그인의 끝판왕을 알아보자! 🔐🚀 (0) | 2025.02.05 |
---|---|
쿠키, 세션, 토큰 – 웹에서 나를 기억하는 방법! 🍪🔑 (0) | 2025.02.05 |
API vs. 전문통신, 뭐가 다를까? 🌐💬 (2) | 2025.02.05 |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 vs. 배치 처리(Batch Processing), 뭐가 다를까? ⚡⏳ (0) | 2025.02.04 |
개발계, 테스트계(스테이징), 운영계의 차이점 🖥️🚀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