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자가 알아야 할 IT지식

🕵️‍♂️ 파싱(Parsing) & 크롤링(Crawling) – 웹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

by 일잘러로 살기 2025. 2. 5.

💬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싶어! 어떻게 하지?"
💬 "크롤링이랑 파싱이랑 뭐가 다르지?"

웹에는 수많은 데이터가 있지만, 그냥 보기만 할 수 있을 뿐 가져와서 활용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등장한 기술이 바로 크롤링(Crawling)과 파싱(Parsing)! 🚀

이 두 개념은 종종 헷갈리지만, 서로 다른 역할을 합니다.
크롤링이 웹페이지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이라면, 파싱은 그 데이터를 분석해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에요.


🦾 크롤링(Crawling) – 웹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 "크롤링은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방문하고 데이터를 긁어오는 작업이에요!"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방문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크롤링의 대표적인 예죠.

 

📌 크롤링의 특징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방문하여 HTML 데이터 가져옴
원하는 페이지를 여러 개 찾아서 순차적으로 접근 가능
검색 엔진(구글, 네이버)의 웹페이지 수집 방식과 유사

 

🛠️ 크롤링 예시

🌐 예제: 특정 뉴스 사이트에서 최신 기사 제목 가져오기
1️⃣ 크롤러(웹 스크래퍼)가 뉴스 사이트 방문
2️⃣ HTML 코드에서 기사 목록 찾기
3️⃣ 기사 제목과 링크를 저장
4️⃣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여 반복

 

🚀 "웹사이트에서 자동으로 데이터를 긁어오는 것이 크롤링!"


🧐 파싱(Parsing) – 가져온 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 추출!

💡 "파싱은 크롤링한 데이터를 분석해서 필요한 부분만 정리하는 과정이에요!"
웹에서 가져온 HTML, XML, JSON 데이터를 읽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냅니다.

 

📌 파싱의 특징

크롤링한 데이터에서 원하는 요소만 선택
HTML, XML, JSON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분석 가능
원하는 정보만 깔끔하게 정리하여 활용

 

🛠️ 파싱 예시

🌐 예제: 뉴스 사이트에서 가져온 HTML 코드에서 기사 제목만 추출
1️⃣ 크롤링한 데이터에는 HTML 코드가 포함됨
2️⃣ HTML 코드에서 <h1> 태그 안에 있는 제목 부분 찾기
3️⃣ 불필요한 태그 제거 후 텍스트만 저장

 

🚀 "데이터를 정리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뽑아내는 것이 파싱!"


크롤링 vs 파싱 비교!

  크롤링 파싱
역할 웹페이지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가져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 추출
작동 방식 웹페이지 방문 후 HTML 데이터 저장 HTML/XML/JSON에서 원하는 정보만 선택
사용 예시 뉴스 기사 전체 HTML 긁어오기 HTML에서 제목만 추출
필요 기술 웹 요청 (HTTP 요청, BeautifulSoup, Selenium) 문자열 처리, 정규식, JSON/XML 라이브러리

🎯 결론 – 크롤링과 파싱, 함께 써야 한다!

크롤링은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
파싱은 가져온 데이터에서 원하는 부분만 추출하는 과정!
둘 다 조합하면 웹에서 원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음!

 

"크롤링은 데이터를 긁어오는 기술, 파싱은 데이터를 정리하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