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에서 기기들이 어떻게 서로 소통할 수 있을까?"
💬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도 규칙이 다르면 연결이 안 되는 거 아니야?"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유는 "프로토콜(Protocol)"이 있기 때문이에요!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따르는 약속(규칙)" 입니다.
즉, 컴퓨터들이 서로 같은 규칙을 따라야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요! 🚀
그럼,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HTTP, FTP, SMPP에 대해 알아볼까요? 😊
🧐 프로토콜(Protocol) –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원칙!
💡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 규칙'이에요!"
📌 프로토콜의 주요 역할
✔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지 정함
✔ 에러가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 제공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원활한 연결 유지
🎯 대표적인 프로토콜 종류
✅ HTTP/HTTPS –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
✅ FTP –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
✅ SMPP – SMS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
✅ TCP/IP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기본 프로토콜
🌍 1. HTTP – 웹 통신의 핵심!
💡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프로토콜!"
📌 HTTP의 특징
✔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 데이터 전송
✔ 비연결성(Connectionless) – 요청할 때만 연결되고, 응답 후 연결 해제
✔ 무상태(Stateless) – 서버가 이전 요청을 기억하지 않음
🛠️ HTTP 예시
📌 웹사이트 접속할 때!
1️⃣ 사용자가 https://www.example.com 입력
2️⃣ 브라우저가 서버에 HTTP 요청(Request) 전송
3️⃣ 서버가 HTML, CSS, JavaScript를 포함한 HTTP 응답(Response) 반환
4️⃣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응답받은 데이터를 해석해 화면에 표시
🚀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HTTP가 동작한다!"
🔒 HTTPS (Secure HTTP) – 보안이 추가된 HTTP
✔ SSL/TLS 암호화로 보안 강화
✔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해커가 중간에서 가로채기 어려움
📂 2. FTP – 파일 전송의 표준!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파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FTP의 특징
✔ 파일을 업로드(서버에 저장)하고 다운로드(서버에서 가져오기) 가능
✔ 아이디 & 비밀번호 기반 인증 가능
✔ 별도의 FTP 프로그램(FileZilla 등)을 사용해 접속 가능
🛠️ FTP 예시
📌 웹사이트에 이미지 업로드할 때!
1️⃣ 웹 디자이너가 FTP 클라이언트(FileZilla) 실행
2️⃣ 호스트 주소, 사용자명, 비밀번호 입력 후 서버 연결
3️⃣ 로컬 PC에서 웹 서버로 이미지 파일 업로드
4️⃣ 웹사이트에서 해당 이미지를 사용 가능
🚀 "FTP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개념과 유사하지만, 특정 서버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
📡 3. SMPP – SMS 전송 프로토콜!
💡 "휴대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SMPP의 특징
✔ 이동통신사(SKT, KT, LG U+)의 SMS 서버와 연결하여 메시지 전송
✔ 대량의 메시지를 빠르게 처리 가능
✔ 은행, 쇼핑몰, 인증번호 문자 전송 등에 사용
🛠️ SMPP 예시
📌 은행에서 OTP 인증번호 전송할 때!
1️⃣ 사용자가 인터넷 뱅킹 로그인 시 OTP 요청
2️⃣ 은행 서버가 SMPP 프로토콜을 사용해 이동통신사 SMS 게이트웨이에 요청
3️⃣ 이동통신사가 사용자의 휴대폰에 문자 메시지 발송
4️⃣ 사용자가 OTP 입력 후 로그인 성공
🚀 "SMPP는 대량의 문자 메시지를 빠르게 전송하는 프로토콜!"
✅ 프로토콜 비교!
HTTP | FTP | SMPP | |
사용 목적 | 웹사이트 접속 | 파일 전송 | 문자 메시지 전송 |
작동 방식 | 요청-응답 방식 | 업로드/다운로드 | SMS 게이트웨이와 통신 |
보안 | HTTPS 사용 시 암호화 | 암호화 가능 (FTPS) | 암호화 지원 |
사용 예시 | 웹페이지 로딩 | 서버에 파일 업로드 | OTP, 문자 알림 |
🎯 결론 – 프로토콜을 알면 네트워크가 보인다!
✔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규칙!
✔ HTTP – 웹페이지 요청 및 응답을 처리
✔ FTP –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다운로드
✔ SMPP – SMS 메시지를 빠르게 전송
'기획자가 알아야 할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UID & MAC – 고유 식별자로 나만의 아이디를 만들어보자! 🏷️🔑 (0) | 2025.02.05 |
---|---|
🌎 IP & NAT IP – 인터넷 세상의 주소 체계! 🏠📡 (0) | 2025.02.05 |
🕵️♂️ 파싱(Parsing) & 크롤링(Crawling) – 웹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 🌍🔍 (0) | 2025.02.05 |
🔥 방화벽(Firewall) & VPN – 안전한 네트워크의 필수 요소! 🌐🔒 (0) | 2025.02.05 |
📦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 개발에 필요한 모든 도구 모음! 🛠️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