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컴포넌트4 "라벨링과 히스토리백, UI 설계의 기본을 잡아보자!" UI 설계에서 라벨링(Labeling)과 히스토리백(History Back)은 서비스의 가독성과 사용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용어를 정리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관리하는 방식 모두 서비스 일관성을 유지하는 핵심 기획 포인트가 됩니다.📌 라벨링(Labeling), 명확한 UI의 시작라벨링은 UI 요소들의 명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이에요.사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요소에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메뉴 레이블링 : 네비게이션 및 카테고리명을 설정하는 것이에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줘요.소제목 타이틀 : 페이지 내 섹션별 제목을 정의하는 것이에요. 각 섹션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줘요.버튼명(Labeling for.. 2025. 2. 15. "필터 & 소팅 UI, 제대로 이해하면 서비스가 달라진다!" 소팅(Sorting)과 필터(Filter) UI는 사용자 경험(UX)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거나 특정 조건에 맞춰 검색 결과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소팅(Sorting) UI란?소팅은 데이터를 특정 기준(예: 가격 낮은 순, 인기순, 최신순 등)에 따라 정렬하는 기능입니다.일반적으로 드롭다운 메뉴, 버튼 그룹, 아이콘 버튼 형태로 제공됩니다.선택 시, 정렬된 리스트가 즉시 반영됩니다.일부 서비스에서는 오름차순/내림차순 전환 버튼을 추가해 유연한 정렬을 제공합니다.📌 필터(Filter) UI란?필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선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필터링 옵션을 설정하면 사용자 맞춤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체크.. 2025. 2. 15. Read-Only & Disabled, 뭐가 다를까? 🤔 UI 기획을 하다 보면 Read-Only와 Disabled라는 용어를 자주 마주치게 돼요. 둘 다 입력을 막는 기능이지만, 실제로는 용도가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 기획할 때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지 않으면 사용자 경험이 엉망이 될 수도 있어요. 그럼, 차이점을 예시와 함께 살펴볼까요? 🚀✅ Read-Only란? 사용자가 데이터를 볼 수만 있고 수정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해요. 즉, 입력 필드가 존재하지만 입력이 불가능한 UI예요. 📌 Read-Only 예시마이페이지에서 본인의 회원정보 확인 (수정 불가)회사 시스템에서 급여 정보 조회 (변경 불가)주문 상세 페이지에서 주문번호 표시 (사용자는 수정할 필요 없음)이미지 출처💡 Read-Only가 필요한 이유 ✔️ 중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수로 수.. 2025. 2. 15. 레이아웃 & 디자인 관련 UI 용어 레이아웃 & 디자인 관련 요소 디바이더 (Divider)설명: 콘텐츠나 섹션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평 또는 수직 선입니다. 시각적으로 공간을 나누어주는 역할을 합니다.사용 예시: 섹션 간의 구분을 위해 텍스트 블록이나 이미지 사이에 사용특징: 페이지의 시각적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내용의 흐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카드 (Card)설명: 정보를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 구성된 블록형 요소입니다.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릭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전달합니다.사용 예시: 상품, 블로그 포스트, 사용자 프로필 등의 정보를 담는 카드특징: 정보나 콘텐츠를 구조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레이어 (Layer)설명: 다른 콘텐츠 위에 겹쳐서 나타나는 .. 2025. 2.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