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을 처음 시작할 때, 스토리보드는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스토리보드는 서비스의 흐름과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하나의 목표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스토리보드 작성은 단순히 ‘화면을 그린다’는 의미를 넘어, 서비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각 요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비스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필수 요소들과, 각 요소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사업계획
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사업계획에는 서비스의 배경과 목적, 경쟁 분석 등 기본적인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며,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 사업 배경 (필요성)
- 서비스가 왜 필요한지, 시장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 서비스 소개, 특징
- 서비스의 주요 기능과 특징을 간략히 설명합니다. 이 부분은 서비스 스토리보드에서 보여질 주요 화면들의 핵심 기능이 될 것입니다.
- 경쟁사 분석
-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사들의 특징과 시장에서의 위치를 분석하여, 자사의 서비스가 차별화될 수 있는 부분을 명확히 합니다.
- 일정 계획
- 서비스의 개발 및 런칭 일정을 계획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작업들을 명시합니다.
2. 히스토리 관리
히스토리 관리는 문서나 페이지에서 수정된 내용을 추적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서비스 기획이나 디자인이 변경될 때마다, 이전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여, 언제 어떤 변경이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히스토리 관리는 수정 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며, 팀원들이 작업하는 데 필요한 정보 제공을 돕습니다.
- 변경 내역 기록
- 각 변경 사항은 날짜와 변경된 내용을 기록하여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거나, 수정 사항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 비고란 활용히스토리 관리 예시:버전 날짜 변경 사항 변경자
1.0 2025-02-07 최초 문서 작성 김지민 1.1 2025-02-10 기능 정의서 추가, 메뉴 항목 수정 이수진 1.2 2025-02-12 화면설계 수정, UI 디자인 텍스트 업데이트 박상민 1.3 2025-02-15 경쟁사 분석 및 서비스 설명 추가 김지민 - 변경 사항에 대한 비고를 추가하여, 특정 변경이 왜 이루어졌는지, 어떤 조건에서 수정이 필요한지를 명시합니다.
3. 공통사항 정의
서비스 스토리보드에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규칙들을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통사항 정의는 화면 설계서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팀원들이 동일한 기준을 따를 수 있도록 합니다.
- 화면 설계 시 규칙 설정
- 예를 들어, 버튼의 크기, 색상, 글씨체 등 화면 구성 요소에 대해 통일된 규칙을 설정합니다.
- 레이아웃과 인터페이스 규칙
- 각 화면이 어떻게 배치될지, 인터페이스 요소들이 어떻게 동작할지에 대한 기본 규칙을 정의합니다.
4. 메뉴구조 (사이트맵)
사이트맵은 서비스의 전체 구조를 시각화한 다이어그램입니다. 각 페이지와 기능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메뉴구조는 사용자들이 서비스 내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서비스 페이지 구조 정의
- 사이트맵을 통해 각 페이지와 메뉴가 어떻게 구성될지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 계층 구조
- 각 페이지의 상위, 하위 메뉴를 정의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내에서 어떤 메뉴를 선택해야 원하는 정보에 도달할 수 있는지 명확히 합니다.
5. 기능정의서
기능정의서는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이 어떻게 구현되고, 각 기능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정의하는 문서입니다. 정보구조도자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과 구조를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로, 서비스의 각 페이지와 기능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작동하는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기능정의서 예시
- 기능 코드
- 각 기능에 고유의 코드를 할당하여, 추후 개발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합니다.
- 메뉴 (Depth별로)
- 메뉴의 계층을 정의하여, 각 메뉴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설명합니다.
- 기능 이름, 설명 및 정의
- 각 기능이 하는 일과 그 기능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 기능 구성
- 화면에 배치될 배너, 이미지, 텍스트 등의 구성 요소를 정의합니다.
- 레퍼런스
- 해당 기능이 외부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또는 유사한 서비스를 보여주는 레퍼런스를 제공합니다.
- 개발 필요사항
- 기능 구현에 필요한 작업 요소(디자인, 퍼블리싱 등)와 개발 사항을 정의합니다.
- 비고
- 추가적인 설명이나 주의사항을 기록합니다.
기능정의서 예시:
기능 이름 기능 설명 기능 구성 개발 필요사항
기능 이름 | 기능 설명 | 기능 구성 | 개발 필요사항 |
로그인 | 사용자가 계정으로 로그인 | 텍스트 필드, 버튼 | 디자인: 로그인 화면, 로그인 모듈 개발 |
상품 검색 |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할 수 있음 | 검색창, 필터, 리스트 | 디자인: 상품 리스트 페이지, 검색 모듈 개발 |
6. 정책정의서
정책정의서는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의 권리와 의무를 정의하는 문서로, 서비스 이용약관, 회원 관리,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규칙을 명확히 합니다. 정책정의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고, 서비스 제공자가 어떤 책임을 지는지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정책정의서 예시
- 회원 유형 관리
- 비회원: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비회원은 제한된 기능만 이용할 수 있으며, 일부 서비스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일반회원: 서비스에 가입하고 연회비를 지불하지 않은 회원입니다. 일반회원은 기본적인 서비스만 제공받으며, 추가 혜택이나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 프리미엄회원: 연회비를 지불하고 가입한 회원으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이 회원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일부 서비스는 다른 회원들보다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에는 세 가지 회원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제공되는 혜택이 다릅니다.
- 회원 상태 관리
- 정상: 모든 서비스와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임시정지: 일부 기능에 제한이 있으며, 일정 기간 후 복귀할 수 있습니다.
- 탈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며,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 휴면: 일정 기간 로그인하지 않은 회원은 휴면 상태로 전환되며, 이후 일정 기간 후 탈퇴 처리될 수 있습니다.
- 회원의 상태는 서비스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각 상태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달라지므로, 회원 상태를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7. 화면설계
화면설계는 서비스의 실제 사용자 경험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서비스가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고, 사용자가 어떤 화면을 볼지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의합니다.
- 와이어프레임
- 서비스의 기본적인 화면 구성을 정의합니다. 처음에는 종이에 스케치하고, 이후 디지털로 구현합니다.
- 플로우차트
- 사용자가 서비스 내에서 어떤 경로를 따라가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입니다. 서비스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UI 설계
- 화면에 들어갈 실제 데이터를 샘플로 넣어주어, 디자이너가 실제 UI를 어떻게 구성할지를 명확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로써 서비스 스토리보드 작성의 필수 요소들과 구체적인 예시들을 모두 포함한 풀버전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가이드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하며, 최종적으로 개발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일관성 있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효율적인 UI 배너 디자인: Hero, Sticky, Carousel 등 배너 유형별 특징 (0) | 2025.02.08 |
---|---|
🌐⚙️ "UI 디자인의 핵심! GNB, SNB, LNB, FNB로 완성하는 효율적 네비게이션 (0) | 2025.02.08 |
📋 [웹 기획] 제품 요구 조건 문서(PRD) 작성 가이드: 제품 기획의 핵심을 짚다 (0) | 2025.02.08 |
📑 약관, 이제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사업에서 꼭 필요한 법적 내용 (0) | 2025.02.08 |
🚀 IA(정보구조) 설계, 이렇게 하면 쉽고 재밌다! 서비스 기획 초보를 위한 꿀팁 대방출!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