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기획/마케팅 관련

상품/서비스 가격 결정 프로세스

by 일잘러로 살기 2025. 2. 3.

가격 결정 과정 (Pricing Process)

가격 결정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제공하는 대가를 설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는 기업의 전략과 목표에 따라 진행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6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가격 설정의 목적 (Pricing Objective)

가격 설정의 목적은 기업이 가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목표는 기업의 비전,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존속 유지 (Survival): 경쟁이 치열하거나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생존을 위해 가격을 설정
  • 단기 이익 극대화 (Maximizing Short-Term Profits): 시장에서 입지를 다진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익 극대화
  • 시장점유율 극대화 (Maximizing Market Share):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가격 책정
  • 상품 품질 선도 (Product-Quality Leadership): 프리미엄 가격을 통해 고품질 제품의 시장 내 입지 강화

2. 수요 결정 (Determine Demand)

가격과 수요는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는 줄어들지만,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민감도에 따라 수요 변화의 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가격 민감도가 높은 상품: 일반 소비재처럼 가격 변동에 따라 수요가 크게 변동
  • 가격 민감도가 낮은 상품: 프리미엄 브랜드처럼 가격이 변해도 일정한 수요 유지

이러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요곡선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3. 비용 추정 (Estimate Costs)

가격을 결정할 때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원가(costs)**입니다. 원가를 바탕으로 가격의 최소 한계를 설정하며, 수익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고정비 (Fixed Costs): 생산량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비용 (예: 임대료, 관리비)
  • 변동비 (Variable Costs):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예: 원재료비, 생산비)

기업은 이윤 확보를 위해 총비용을 초과하는 가격을 설정해야 합니다.


4. 경쟁자 분석 (Competitor Analysis)

경쟁사의 가격 정책을 분석하는 것은 가격 설정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쟁사의 가격, 원가 구조, 소비자 반응 등을 파악하여 자사 가격을 전략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 경쟁사와 유사한 가치 제공 → 경쟁사와 유사한 가격 설정
  • 차별화된 가치 제공 → 프리미엄 가격 설정

5. 가격 설정 방법 (Price Method)

기업의 목표와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가격 설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목표 수익률 가격 설정법 (Target ROI Pricing): 목표 투자 수익률을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
  • 가치 기반 가격 설정법 (Value-Based Pricing): 소비자가 인식하는 가치를 기준으로 가격을 설정하여 충성 고객 확보

6. 최종 가격 선택 (Select Final Price)

최종 가격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지역별, 구매 시기별 차별화된 가격 정책 적용
  • 품질 보증 기간, 추가 서비스 등 다양한 요인을 반영하여 유연한 가격 책정
  • 시장 변화에 대응하면서도 일관된 가격 전략 유지

📌 가격 결정 과정 요약

1. 가격 설정의 목적 가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정의 (존속 유지, 이익 극대화, 시장점유율 확대, 품질 선도 등)
2. 수요 결정 가격과 수요의 관계 분석. 가격 민감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가격 범위 설정
3. 비용 추정 고정비·변동비 분석을 통해 가격의 하한선 결정 및 수익성 확보
4. 경쟁자 분석 경쟁사의 가격, 원가,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여 전략적 가격 결정
5. 가격 설정 방법 목표 수익률 기준 또는 가치 기반 가격 설정법 적용
6. 최종 가격 선택 지역, 시기, 품질 보증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최종 가격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