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서비스 가격 결정전략
“이 제품, 도대체 왜 이렇게 비싼 거야?” 혹은 “이 가격에 이 퀄리티 실화?”라는 생각, 한 번쯤 해본 적 있으시죠? 사실 모든 가격에는 치밀한 전략이 숨겨져 있습니다.
기업들은 단순히 원가에 이윤을 더해서 가격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심리, 시장 상황, 경쟁자 전략 등을 모두 고려해 가격을 책정합니다. 때로는 가격을 높여 더 가치 있어 보이게 만들기도 하고, 일부 제품을 싸게 팔아 더 큰 이익을 노리기도 합니다.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가격 전략 9가지를 알아보면서, "이 가격이 왜 이렇게 정해졌는지"에 대한 비밀을 풀어보겠습니다! 🚀
1. 프리미엄 가격 책정 (Premium Pricing)
✔ 설명
프리미엄 가격 책정은 고급 제품이나 서비스에 높은 가격을 책정하여, 소비자에게 고품질과 높은 가치를 인식시키는 전략입니다. 브랜드 가치와 독창성을 강조하며, 시장에서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장점
✅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 형성
✅ 충성 고객 확보
✔ 단점
❌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층 배제
❌ 시장 점유율 확대 어려움
✔ 예시
애플, 루이비통과 같은 명품 브랜드가 이 전략을 활용합니다.
2. 경제적 가격 책정 (Economy Pricing)
✔ 설명
경제적 가격 책정은 최대한 낮은 가격을 책정하여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를 공략하는 전략입니다. 대량 생산과 효율적인 유통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여 저가로 제공됩니다.
✔ 장점
✅ 대중 시장 공략 용이
✅ 비용 절감 효과
✔ 단점
❌ 품질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가능
❌ 낮은 마진
✔ 예시
월마트, 다이소와 같은 저가 전략을 채택한 브랜드가 사용합니다.
3. 심리적 가격 책정 (Psychological Pricing)
✔ 설명
소비자의 심리를 고려한 가격 전략으로, 예를 들어 999원처럼 끝자리를 9로 설정하여 더 저렴하게 보이도록 유도합니다.
✔ 장점
✅ 소비자가 가격을 더 저렴하게 인식
✅ 구매 전환율 증가
✔ 단점
❌ 신뢰도 저하 가능성
❌ 지나치게 저렴해 보일 위험
✔ 예시
매장에서 1000원 대신 999원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4. 스키밍 가격 책정 (Skimming Pricing)
✔ 설명
신제품 출시 초기 높은 가격을 책정하여 초기 수익을 극대화한 후, 점진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전략입니다.
✔ 장점
✅ 초기 시장에서 높은 수익 확보
✅ 브랜드 가치 상승
✔ 단점
❌ 높은 가격으로 인해 초기 소비자 제한
❌ 경쟁사의 빠른 대응 가능
✔ 예시
애플의 아이폰 출시 전략 – 초기에는 높은 가격,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 인하.
5. 손실 리더 가격 책정 (Loss Leader Pricing)
✔ 설명
일부 상품을 원가 이하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고객을 매장으로 유인하고 다른 고수익 제품을 함께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 장점
✅ 고객 유입 증가
✅ 다른 고수익 제품 판매 촉진
✔ 단점
❌ 초기 수익 손실 발생
❌ 소비자가 저가 제품만 구매할 가능성
✔ 예시
슈퍼마켓에서 우유나 계란을 저렴하게 판매하여 고객을 유인하는 방식.
6. 지리적 가격 책정 (Geographic Pricing)
✔ 설명
소비자의 위치(지역)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설정하는 전략입니다. 물류 비용, 지역 구매력, 경쟁 환경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가격을 책정합니다.
✔ 장점
✅ 지역별 최적화된 가격 설정 가능
✅ 수익 극대화 가능
✔ 단점
❌ 소비자 간 가격 차이로 인한 불만 발생 가능
❌ 가격 정책 관리 복잡
✔ 예시
애플의 국가별 가격 차이 – 같은 제품이라도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 비싼 경우.
7. 원하는 만큼 지불 (Pay What You Want Pricing)
✔ 설명
소비자가 자율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전략으로,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소비자의 부담 완화를 유도합니다.
✔ 장점
✅ 소비자 만족도 및 자율성 증가
✅ 브랜드 충성도 향상
✔ 단점
❌ 예상보다 낮은 가격으로 인한 수익 감소 가능
❌ 일부 소비자가 지나치게 낮은 가격을 선택할 위험
✔ 예시
밴드캠프(Bandcamp) – 소비자가 음악 가격을 직접 결정하여 구매하는 방식.
8. 이중 가격 책정 (Two-Part Pricing)
✔ 설명
기본 가격 외에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구독형 서비스나 멤버십 모델에서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 장점
✅ 추가 수익 창출 가능
✅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 제공
✔ 단점
❌ 가격 책정이 복잡해질 수 있음
❌ 소비자 혼란 초래 가능
✔ 예시
헬스장 – 기본 이용료 + 추가 서비스(예: 수영장, 개인 트레이닝) 요금 부과.
9. 포획 가격 책정 (Captive Pricing)
✔ 설명
기본 제품을 저렴하게 제공한 후, 필수적으로 필요한 관련 제품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입니다.
✔ 장점
✅ 초기 구매 장벽 낮춤
✅ 지속적인 수익 창출 가능
✔ 단점
❌ 소비자 불만 유발 가능
❌ 경쟁이 심한 시장에서는 차별화 어려움
✔ 예시
프린터 – 본체는 저렴하게 판매하지만, 잉크 카트리지에서 지속적인 수익 창출.
📌 가격 결정 전략 요약
구분 | 설명 | 예시 |
프리미엄 가격 책정 | 고급 이미지 구축 | 애플, 루이비통 |
경제적 가격 책정 | 저가 전략으로 대중 시장 공략 | 월마트, 다이소 |
심리적 가격 책정 | 가격을 저렴하게 보이도록 설정 | 999원 가격 책정 |
스키밍 가격 책정 | 신제품 초기 고가 → 점진적 인하 | 아이폰 출시 |
손실 리더 가격 책정 | 일부 제품을 저렴하게 제공해 고객 유인 | 슈퍼마켓 할인 제품 |
지리적 가격 책정 | 지역별 가격 차등 적용 | 애플의 국가별 가격 차이 |
원하는 만큼 지불 | 소비자가 직접 가격 결정 | 밴드캠프 |
이중 가격 책정 | 기본 요금 + 추가 요금 부과 | 헬스장 멤버십 모델 |
포획 가격 책정 | 기본 제품 저렴, 필수 제품에서 수익 창출 | 프린터 & 잉크 |
'사업 기획 > 마케팅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광고 성과 분석! CPA, CPC, CTR, CPO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08 |
---|---|
📊 다양한 수요 유형에 따른 마케팅 전략 (0) | 2025.02.08 |
상품/서비스 가격 결정 프로세스 (0) | 2025.02.03 |
마케팅 용어 ③ 퍼포먼스 마케팅 & 인텐트 마케팅 (0) | 2025.02.01 |
마케팅 용어 ② SEO(검색엔진 최적화) (0) | 2025.02.01 |